신년 특집 2- 2025년 주얼리 업계 강타할 8대 트렌드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국귀금속보석신문 댓글 0건 조회 429회 작성일 25-01-04 13:25본문
초경량, 다기능성, 성별 파괴 주얼리 등 주목
복고풍, 랩그로운, 이니셜 맞춤형, 할로우, 스마트 주얼리 강세 예상
2025년, 주얼리 업계는 혁신적인 변화의 물결 속에 발돋움할 준비를 마쳤다.
소비자들의 가치관 변화, 환경 문제, 기술 발전 등이 주얼리 디자인과 마케팅 전략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2025년 주얼리 시장에서 주목할 만한 트렌드는 다양성과 지속 가능성이다.
이번 신년 특집에서는 올해의 주얼리 트렌드를 구체적인 시장 예측과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상세히 다뤄본다.
■ 첫 번째 트렌드
옛날 감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주얼리
2025년에도 '복고풍'은 강세를 보일 전망이다. 1920년대 아르데코 스타일과 1970년대 대형화된 볼드한 디자인은 여전히 인기를 끌며, 소비자들에게 클래식하면서도 신선한 느낌을 준다. 이러한 스타일은 과거의 전통적인 디자인에 현대적인 터치를 추가하여, 지속 가능성을 상징하는 주요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 시장 예측
전문 조사 기관인 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복고풍 주얼리 시장 규모는 2025년까지 4.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젊은 소비자들이 복고풍 디자인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으며, 이는 2023년과 비교해 15% 증가한 수치다.
▶ 사례
까르띠에는 최근 아르데코 스타일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한 "Panthère de Cartier" 컬렉션을 선보였다.
이 컬렉션은 클래식하면서도 현대적인 감각을 잃지 않으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티파니 또한 1970년대 대형화된 볼드한 디자인을 현대적 요소와 결합하여 "Tiffany Knot" 라인을 출시, 복고풍 트렌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 두 번째 트렌드
목걸이가 팔찌로 변형되는 등의 다기능성 주얼리
반지가 이어링으로 변환되는 디자인
USB 드라이브로 변환 가능한 주얼리
다기능성 주얼리는 단순한 아름다움을 넘어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적응하는 혁신적인 디자인을 통해 인기를 끌고 있다.
예를 들어, 목걸이가 팔찌로 변형되거나, 반지가 이어링으로 전환되는 주얼리들이 소비자들 사이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 시장 예측:
Future Market Insights에 따르면, 다기능성 주얼리 시장은 2025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6.2%를 기록하며, 특히 활동량이 많은 젊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더욱 큰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인다.
또한, NFC 칩과 USB 드라이브 기능을 탑재한 주얼리도 주목받고 있다.
▶ 사례:
불가리는 "Bvlgari B.Zero1" 라인에서 쉽게 변형 가능한 주얼리를 선보였으며, 최근 "NFC 기술이 내장된 스마트 링"을 출시하여 실용성을 높였다.
판도라도 최근 "Pandora Me" 라인에서 이어링과 팔찌가 결합된 다양한 형태의 변형 가능한 주얼리를 출시하며 다기능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세 번째 트렌드
성별 경계를 허무는 남녀 공용 주얼리
성별에 구애받지 않는 디자인의 유니섹스 주얼리는 2025년 주얼리 시장에서 중요한 트렌드로 자리 잡을 예정이다.
성적 규범과 전통적인 경계가 변하면서, 유니섹스 주얼리는 소비자들에게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매개체로 떠오르고 있다.
▶ 시장 예측:
GlobalData의 조사에 따르면, 성별을 초월한 유니섹스 주얼리 시장은 2025년까지 12%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젊은 세대에서 성별을 초월한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24~35세 소비자 사이에서 강한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 사례:
구찌는 성별을 넘나드는 주얼리 컬렉션을 선보였으며, 특히 "Gucci Ouroboros" 라인은 남성과 여성 모두가 착용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샤넬도 "Chanel's Unisex Collection"을 출시하여 성별의 경계를 허문 디자인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새롭고 혁신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 네 번째 트렌드
이니셜 각인, 탄생석 삽입 등의 맞춤형 주얼리
개인의 취향을 반영한 맞춤형 주얼리는 2025년에도 주얼리 업계에서 큰 인기를 끌 것이다.
이니셜 각인, 탄생석 삽입, 또는 특별한 순간을 기념하는 주얼리 등이 주요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AI와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소비자가 자신만의 주얼리를 디자인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될 것으로 보인다.
▶ 시장 예측:
Statista에 따르면, 맞춤형 주얼리 시장은 2025년까지 8.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개인화된 제품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높아지고 있다.
갈수록 소비자들이 더욱 개성 있는 제품을 선호하면서 맞춤형 주얼리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 사례:
티파니는 "Tiffany Custom Jewelry"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들이 자신의 이니셜을 각인하거나 탄생석을 삽입하는 맞춤형 주얼리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제임스 알렌은 3D 디자인 플랫폼을 제공하여 소비자들이 자신만의 주얼리를 3D로 설계하고 주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 맞춤형 주얼리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다섯 번째 트렌드
심플하면서 볼륨감이 있는 할로우 주얼리
할로우 뱅글 팔찌
심플한 디자인에 볼륨감이 있는 할로우 주얼리는 어려운 경제 여건 속에서 실용적이면서도 고급스러운 품격을 제공한다.
이 스타일은 많은 주얼리 실속파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으며, 가격 대비 품질이 뛰어나다는 점이 매력이라고 볼 수 있다.
▶ 시장 예측:
Research and Markets의 보고서에 따르면, 할로우 주얼리 시장은 2025년까지 7%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효율적인 고급스러움을 추구하는 소비자에게 큰 호응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 사례:
스와로브스키는 할로우 주얼리 라인에서 뛰어난 볼륨감과 실용성을 제공하는 "Swarovski Halo" 컬렉션을 출시했다. 이 컬렉션은 많은 주얼리 실속파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 여섯 번째 트렌드
3.75g 이하 주얼리 등의 초경량 주얼리 열풍
초경량 3.75g 목걸이(실물 확대 크기)
초경량 주얼리는 금값 상승과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소비자들에게 더욱 큰 인기를 끌고 있다. 1g 이하의 돌반지, 골드바, 목걸이 등은 소비자들에게 부담 없는 가격으로 고급스러움을 선사한다.
▶ 시장 예측:
World Gold Council의 보고서에 따르면, 초경량 주얼리 시장은 2025년까지 5.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특히 금값 상승에 대응하는 주얼리 제품의 수요 증가와 관련이 있다.
▶ 사례:
불가리는 "Bvlgari Ultra Light" 라인에서 1g 이하의 경량화된 주얼리를 선보였으며, 소비자들 사이에서 가격 부담을 줄이면서도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제공하는 제품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 일곱 번째 트렌드
저렴하면서도 친환경적인 랩그로운 다이아몬드 주얼리
랩그로운 다이아몬드는 환경적 지속 가능성과 가격 경쟁력을 갖춘 주얼리로, 특히 친환경을 중시하는 젊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주목받고 있다.
▶ 시장 예측:
Tracr의 조사에 따르면, 랩그로운 다이아몬드 시장은 2025년까지 20%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주얼리 업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카테고리 중 하나로, 특히 젊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다.
▶ 사례:
드비어스는 "Lightbox Jewelry" 라인을 통해 랩그로운 다이아몬드를 사용한 주얼리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친환경적인 소비와 관련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 여덟 번째 트렌드
건강 상태 모니터링 등의 스마트 주얼리
심박수, 수면 패턴 등 데이터를 추적하는 스마트 링
심박수, 칼로리, 체지방 등을 측정하는 스마트 팔찌
건강 상태 모니터링, 메시지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주얼리는 소비자들에게 실용적이면서 스타일리시한 선택지를 제공한다.
이 시장은 급격히 성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기술적 기능을 갖춘 스마트 주얼리가 등장하고 있다.
▶ 시장 예측:
Markets and Markets에 따르면, 스마트 주얼리 시장은 2025년까지 3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헬스케어와 연계된 기능이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인다.
▶ 사례:
애플은 "Apple Watch" 라인을 통해 스마트 주얼리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삼성도 "Galaxy Ring"을 출시하여 스마트 주얼리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했다.
정이훈 기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